도메인 기관이전 방법?
이제 사이트는 잘 열리지만, 도메인은 여전히 가비아에서 관리되고 있죠.
원한다면 그대로 둬도 되지만, 카페24로 기관이전하면 도메인 연장이나 정보 관리를 모두 카페24에서 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이번에는 가비아에서 카페24로 도메인 기관이전을 진행해보겠습니다.
Tip: 도메인을 이전하더라도 이미 사이트 연결은 된 상태이므로 방문자는 눈치채지 못합니다.
기관이전은 백엔드 작동일 뿐, 이미 네임서버가 카페24로 설정되어 있으니 사이트 접속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기관이전 준비사항 체크포인트
도메인 기관이전을 원활히 하려면 먼저 몇 가지 조건을 점검해야 합니다:
- 도메인 잠금 상태 확인:
가비아에서 해당 도메인이 기관이전 잠금(Lock)이 걸려 있는지 확인합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도메인은 기본적으로 Transfer Lock 상태입니다. 가비아 관리화면에서 “잠금해제” 관련 옵션을 찾아 잠금 상태를 해제(Unlock) 해주세요.
보통 「도메인 잠금 해제」 메뉴나, 도메인 정보 수정에 Lock 설정이 있습니다. 해제하면 Status가 “Active”로 바뀝니다.
만약 잠금 설정 메뉴를 못 찾겠다면, 가비아 고객센터 FAQ에서 기관이전 잠금 해지를 검색해보세요. - 이전 불가 기간 여부:
도메인 최초 등록 후 60일 이내이거나, 최근 기관이전 후 60일 이내인 경우 기관이전이 제한됩니다.
또한 .kr 도메인의 경우 등록 후 60일 내 또는 만료일이 매우 임박한 경우 이전이 안 되는 등의 규정이 있으니 확인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등록/갱신 후 60일 지나야 이전 가능하니, 너무 신규 도메인은 좀 더 기다렸다 진행하세요. - 소유자 이메일 확인:
기관이전 과정에서 인증코드(EPP/Auth Code) 발급 및 확인 메일이 도메인 소유자 이메일로 발송됩니다.
따라서 가비아에 등록된 내 소유자 이메일 주소가 정확한지 반드시 확인하세요. My가비아 > 도메인 정보변경 메뉴에서 소유자 정보(특히 이메일)를 최신으로 업데이트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메일 주소 오류로 인증 메일을 못 받으면 이전이 지연되거나 실패합니다.) - 도메인 만료일 확인:
도메인이 곧 만료될 시점이라면, 기관이전 과정에서 시간이 걸려 만료되어버릴 위험이 있습니다.
만약 만료가 임박했다면 먼저 연장을 해두거나, 최소 만료 7일 전에는 이전을 완료하도록 일정을 잡으세요.
이관이 되면 1년 연장 결제를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갱신되지만, 아슬아슬한 상황은 피하는 게 좋아요.
위 사항들이 모두 괜찮다면, 이제 본격적인 이전 절차로 들어가겠습니다.
인증코드(EPP 코드) 받기
기관이전을 하려면 인증 코드(Auth-Code) 또는 흔히 EPP 코드라고 부르는 것을 발급받아야 합니다.
이 코드는 도메인 이전에 필요한 일회용 비밀번호 같은 역할을 합니다.
이메일에서 코드 확인: 소유자 이메일 계정의 받은메일함을 열어 가비아에서 보낸 메일을 찾습니다.
메일 제목에 “인증코드” 또는 “Auth code” 등이 포함되어 있을 거예요.
메일을 열어보면 길고 복잡한 영문/숫자 조합의 인증코드가 적혀 있습니다.
이 코드를 전체 복사(Ctrl+C) 해 둡니다. (인증코드는 보안상 1회용이며, 만약 기간 내 사용하지 못하면 다시 발급 받아야 합니다.
용어 설명: EPP 코드 / Auth-Code란 도메인 이전을 위해 현재 등록기관이 발급하는 인증 키입니다.
다른 곳에서 이 도메인을 가져가려 할 때, 이 키를 제출해야 도메인 소유자가 맞다고 증명됩니다.
은행 이체할 때 이체 비밀번호 쓰는 것과 비슷한 개념이에요.
가비아 My가비아 진입: 다시 가비아 My가비아 > 도메인 관리툴로 이동해 전체 도메인 목록에서 해당 도메인을 클릭합니다.
인증코드 발급 요청: 도메인 상세정보 화면에서 [인증 코드] 버튼(또는 “Auth Code 발급”)을 찾습니다.
이 버튼을 클릭하면 “소유자 이메일로 인증코드가 발송된다”는 메시지가 나올 거예요.
확인을 누르면 가비아에 등록된 소유자 이메일로 코드가 발송됩니다.
카페24에서 기관이전 신청 및 결제
이제 받은 인증코드를 가지고 카페24 측에 도메인 이전 신청을 합니다.
카페24에서는 이전 신청과 동시에 1년 연장비용 결제가 이루어집니다 (연장에 따른 비용으로, 별도의 수수료는 아닙니다).
이전 신청 완료 확인: 결제가 끝나면 “기관이전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라는 확인 메시지가 뜹니다.
이제 도메인 이전 절차가 시작된 것입니다.
카페24 쪽 도메인 관리 목록에 해당 도메인이 “이전중” 또는 대기 상태로 표시될 수도 있습니다.
이후로는 이메일을 잘 확인해야 합니다!
카페24 호스팅센터 접속: 카페24 호스팅센터에 로그인한 후, 나의 서비스 관리 > 도메인 관리 메뉴로 갑니다.
도메인 기관 이전 또는 기관이전 신청 메뉴를 찾으세요. (일반적으로 도메인 관리 화면에서 별도 탭으로 제공됩니다.)
이전할 도메인 입력: 기관이전 신청 화면에서 이전하고자 하는 도메인명을 입력하는 란이 나옵니다.
여기에 내 도메인 이름(예: mybrand.com
)을 입력하고 기관이전 신청 버튼을 클릭합니다.
인증코드 제출 및 결제: 시스템이 해당 도메인이 이전 가능한 상태인지 확인한 후, 인증코드(Auth Code) 입력란이 나타날 것입니다.
여기에 아까 이메일에서 받은 코드를 붙여넣기 합니다. 올바른 코드가 입력되면, 다음 단계로 1년 사용 연장비용 결제 화면이 진행됩니다.
안내에 따라 온라인으로 결제를 완료하세요. (이 비용은 도메인 1년 연장료이며, 기관이전 완료 시 현재 만료일에서 1년이 추가 연장됩니다.)
참고로 .com/.net 등의 국제 도메인은 보통 1년 연장비용 결제 후 이전이 진행되며, .co.kr 등의 국내 도메인도 비슷하지만 일부 절차가 자동화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카페24에서는 대부분의 일반 도메인 이전을 지원하니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문제없이 진행될 거예요.
카페24에서 기관이전 신청 및 결제
기관이전 신청 후에는 기존 등록기관(가비아) 측의 승인 절차가 남아 있습니다.
보안을 위해 이전하려는 도메인의 소유자 이메일로 확인 메일이 발송되는데요, 이를 처리해야 이전이 최종 완료됩니다.
- 이전 동의 메일 확인: 도메인 소유자 이메일로 가비아 또는 중계기관에서 발송된 메일이 도착할 것입니다 (보통 신청 직후 ~ 1일 이내).
메일 제목에 “Domain Transfer Confirmation” 또는 “기관이전 확인요청”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어요. 스팸함도 꼭 확인해주세요.
일부 업체는 확인메일을 안 보내는 경우도 있지만, 가비아의 경우 보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메일 내용 확인 및 승인: 메일 내용을 열어보면, 도메인 이전 신청에 대한 안내와 함께 승인 또는 거부 의사를 표시하는 링크나 버튼이 있습니다.
여기서 승인(Approve)를 클릭하거나 승인용 코드를 제출하는 식으로 절차를 따라주세요.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승인 후 “도메인 이전이 승인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이 메일을 4일 내에 승인하지 않으면 이전이 자동 취소되거나 지연될 수 있으니, 놓치지 말고 처리해야 해요.) - 이전 완료: 메일 승인이 이루어지면, 이제 남은 건 시간이 해결해줍니다. 일반적으로 국제 도메인은 승인 후 1~2일 내 이전이 완료되고, 국내 도메인은 비교적 빨리 완료되기도 합니다.
최대 7일 정도까지 걸릴 수 있으나, 보통은 더 빨리 끝납니다.
카페24 호스팅센터 도메인 관리 목록에 해당 도메인이 정상적으로 등록되면 이전 완료입니다.
이제 가비아 계정에서는 해당 도메인이 사라지고, 카페24 계정에서 도메인을 볼 수 있게 됩니다
. - 네임서버 재확인: 기관이전이 완료되면 도메인의 관리권한이 카페24로 넘어옵니다. 이 때 네임서버 설정이 초기화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보통 이전 전 사용 중이던 카페24 네임서버 설정이 그대로 유지되지만, 혹시 모를 경우를 대비해 카페24의 도메인 관리화면에서 해당 도메인의 네임서버가 정확히 카페24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이전 도메인은 기본으로 Cafe24로 세팅되지만, 확인은 필수!) 만약 다른 네임서버로 바뀌어 있다면 다시 한 번 ns1.cafe24.com 등의 주소로 변경해주면 됩니다.
이제 도메인 자체도 카페24에서 관리하게 되었으므로, 모든 과정이 완료되었습니다.
다음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다음 글: 도메인 연결/이전 시 함께 점검하면 좋은 것들
(링크 예정)